생활습관의학 관련 임상 연구에서, 주된 연구 종류는 중재 연구(Intervention Study)가 될 것입니다. 중재 연구는 연구자가 계획하고 중재했던 절차에 따라, 연구 대상자들의 생활방식 변화 과정으로 인한 질병 예방 및 치료가 이루어지는 건강 결과들을 (Health Outcomes) 모니터하면서 측정하는 연구입니다. 한편, 관찰 연구 (Observation Study) 도 생활습관의학 임상연구의 한 종류가 됩니다. 가령, 어떤 특정 집단 경우 (예: 고등학교 입시생, 실업인, 종교인 등)에게서 나타나는 생활방식 조사 및 그와 관련한 질병/건강 상태 관련. 이 두 주된 임상 연구 접근인 중재 및 관찰 연구 종류들을 가지고 여러 다양한 연구들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생활습관의학 임상 연구는 그
결과들로서, 가령, 환우의 생체 지수들 (Bio Markers – 예: BP, BG, HgA1c, CRP, Interlukin-6, Telomerase), 건강 지식 및 인식, 생활방식 변화에 대한 준비성 및 자신감 등을 측정해보며 중재 전 및 후의 차이점을 집계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재 및 관찰 임상 연구들을 위해서는 연구 질문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 과정 계획을 포함하여 일련의 시간들을 투입하는 시행이 필요합니다.
설문 연구는 그야말로 유효적이자 신뢰적인 질문 사항들을 준비하거나 개발하여, 때로는 일회적 설문 시행 또는 같은 설문 도구를 반복적으로 이용하면서, 응답자의 심리측정 정보 Psychometric Info. (예: 지식, 인식, 태도, 가치관, 지각) 을 알아내는 것입니다. 독립적인 연구가 되기도 또한 중재 연구에 접목시켜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가령, 의대생들 및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연구에서, 만성질환 환자들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카운셀링 실시에 관한 그들의 지식 및 기술 수준, 인지도, 태도, 준비성, 자신감, 등의 질문들을 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는, 가령, 같은 참여자들을 생활습관의학 커리큘럼 코스에 참여시킨 후, 다시 post-survey 를 시행하여 커리큘럼이 미친
측정해 볼 수 있습니다. 의교육 및 의료진들의 훈련 증진에 관한 여러 함축성들(Implications)이 많이 발견될 것입니다.
관심있는 데이터에 관련한 연구 질문 및 계획을 설정한 후, 어느 기간 동안에 연구 발표되었던 연구 데이터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하는 연구입니다. 곧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지요. 데이터를 다시 체계적으로 집계시키는 만큼, 연구 단계에서는 가장 최고봉이라고 할 정도로, 데이터를 사용하여 또 한 번의 좀더 진실한 면들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가령, 어떤 생활방식들이 누구의 어떠한 텔로미어 길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 분야에 관련된 지난 10년 간의 발표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면서, 점을 선으로 잇듯이, 부분적 데이터를 통합하여 한 단계 높은 진실을 그려볼 수 있는 의미 및 보람이 있는 연구 접근입니다.